《트렌드코리아 2025》 SNAKE SENSE 요약편_#8 그라데이션 K
0이냐 1이냐, 어디에 속하는지 정확하게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0과 1사이의 연속적인 변화 어딘가에 존재할 때 우리는 그라데이션이라는 표현을 쓴다.
#원모사 37기 독서챌린지 D8
읽은 것 : p444-495
오늘의 문장: 이제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
그라데이션 K
《트렌드 코리아 2025》에서 그라데이션 K 트렌드는 한국이 다인종 • 다문화 국가로 변모하고, 세계와 폭 넓게 교류하며 경제적 • 문화적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K로 대변되는 한국적 정체성을 지속적으로 확장하는 경향성을 지칭한다.
![](https://blog.kakaocdn.net/dn/mEb4M/btsLdnhqCje/i9U2WhrEGTyG6bJIUSauSk/img.webp)
한국은 다문화 국가다
OECD는 외국인 비중이 총 인구의 5%를 넘는 국가를 다문화 국가로 분류하는데 한국의 국내 합법체류 외국인은 어느새 250만 명을 돌파해 전체 인구의 5%에 이른다.
![](https://blog.kakaocdn.net/dn/bgy8xJ/btsLbXYxpBk/iEQQ5GjBsWFfY18MUwJONk/img.webp)
학교에서도 이제는 외모로 국적을 판단하면 안된다고 가르친다. 다문화 교육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이 주 배경 학생이 30% 이상인 학교가 전국에 350 곳이다. 전라남도 교육청의 경우 다국어 번역 서비스를 운영해 다양한 언어로 자동 번역된 알림장이나 교육 자료 등을 학부모에게 제공한다.
외국인 인재 채용
이제 국적보다 업무 능력과 업무 적합성이 더 중요하다.
잡코리아의 외국인 인재 채용 서비스 클릭이 진행한 조사에서도 직장인 61.5%가 향후 외국인 인재 채용이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어렵사리 채용한 외국인 직원이 불편 없이 지낼 수 있도록, 기업의 배려도 늘어난다. 삼성전자 구내식당에서는 한식 • 중식 • 일식과 함께 인도식 코너가 상시 마련되어 있으며, 식자재 구매단계부터 100% 할랄 인증된 고기를 사용한다. 외국인 종합 생활 지원 플랫폼 '케이스타트Kstart"는 외국인의 생활 속 어려움에 주목해 행정 기관이나 은행에 동행하는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YSnjp/btsLc2LwKuv/lVvaEHZDbUarNg464JsS2k/img.webp)
문화 그라데이션
한국의 문화가 세계의 문화가 되고 세계의 문화가 한국의 문화가 되면서 케이의 경계가 흐려지고 있다.
일명 '몽탄 신도시'로 풀리는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 가면, 한국 문화가 몽골인의 생활에 깊숙이 파고 들어 자리 잡고 있다.
한국과 베트남 정부의 '도시-주택 개발 협력 MOU'는 한국형 신도시 시스템이 외국에서 자리 잡는 좋은 선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https://blog.kakaocdn.net/dn/IHLdG/btsLc34KvBC/PH1xlYZL68BuSosa7SIS5k/img.webp)
KFC Korean Fried Chicken
몇 년 전부터 미국을 비롯한 각국에서 한국식 치킨이 꾸준한 인기를 끌자 치킨의 원조격인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이 한국식 치킨을 출시하면서 켄터키가 아닌 코리안으로 브랜드 이름을 바꿔 제품에 붙이는 파격적인 광고를 펼쳤다.
![](https://blog.kakaocdn.net/dn/2pc4J/btsLditRgrX/czuR035xJqpniBeJAa8AF1/img.jpg)
시장 그라데이션
금융업계
최근 금융업계는 외국인 손님 모시기에 나서고 있다. 은행들은 외국인 손님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으로 서비스 편의성에 주력하고 있다. 언어 장벽을 낮추기 위한 다국어 서비스는 물론 해외 송금의 번거로움을 줄여주는 다양한 서비스를 잇따라 출시하고 있다.
국내 거주 외국인 소비 활동
국내 거주 외국인의 전반적인 소비력이 매년 급격한 증가 폭을 보이고 있는 점도 흥미롭다. 큰 변동이 없는 내국인의 소비 와 대조적으로 외국인의 소비 시장은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 뷰티와 패션
흑인도 사용할 수 있는 K-뷰티 제품으로 입소문이 난 티르티르의 쿠션 제품은 아마존 뷰티 카테고리 1위에 오르기도 했다.
![](https://blog.kakaocdn.net/dn/zLlxT/btsLb08OdyV/osoPpydkyLRrTCHd8jDfP0/img.webp)
화장품에서 시작된 한국 제품에 대한 관심이 최근 패션 브랜드까지 넓어지면서 마뗑킴이나 마르디 메크르디 같은 한국의 신진 디자이너 브랜드가 호황을 맞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최근 한국 브랜드는 제품의 다양한 견주를 줘 다채로워진 글로벌 시장에 대응하고 있다.
터치 한 번으로 다른 나라의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온라인 환경에서 우리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살게 됐다. 이제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
깨달은 점:
초저출산 • 초고령 사회에 접어든 우리나라는 새로운 소비의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는 외국인을 위한 새로운 시장에 대응해야 한다.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해외 전문 인력이 능력을 온전히 발휘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도 시급하다.
한국인의 이민율은 감소 추세인 반면, 한국으로 이주해오는 외국인 이민율은 증가하고 있다. 이민 가는 나라에서 이민 오는 나라가 됐다면, 이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해외 우수 인력들이 이주하고 싶어 하는 나라가 되도록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그라데이션K 시대의 ' 한국적'인 것은 과거의 정체된 역사가 아닌 사람들이 살아가는 매일의 한국이다. 트렌드의 변화는 생각의 변화를 요구한다.
트라데이션 K 트렌드가 인위적으로 막을 수 없는 자연스러운 대세가 되고 있다면, 개방적인 태도는 필수적이다. 외국인은 인력이 아니라 이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bA7HvN/btsLbbQE0ST/uno4Pp9qQ1Jx1ZKuGTlhKk/img.webp)
적용할 점:
우리 학원에도 다문화 가정이 10퍼센트가 조금 넘는 상황이다. 주로 동남아시아 여성분들이신데 우리말도 꽤 잘하시고 문자나 톡도 자유롭게 쓰시는 편이다. 하지만 가끔은, '언어로 인해 힘들 때도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오늘의 주제, '그라데이션K'를 읽다 보니 한국어를 제대로 배우고 싶어 하시는 다문화 가정의 이주학부모님을 대상으로 한국어 클라스를 무료로 제공해 드리는 것도 의미가 있을 듯하다.
![](https://blog.kakaocdn.net/dn/b1GUVg/btsLbxMLrT5/6KVwR7WotjkXHwmk60EWrk/img.we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