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프 트렌드 2025》 요약편_11장 하이엔드 의자: 새로운 욕망의 상징_D11
의자는 단순한 가구를 넘어 현대사회에서 새로운 욕망과 지위의 상징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 오늘은 하이엔드 의자의 의미와, 그것이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원모사 37기 독서챌린지 D23
읽은 것 : p263 - 286
오늘의 문장: 어떤 의자, 어떤 예술 작품을 가지고 있는가?
의자의 상징성
Chair에 Man(사람)이 붙으면 회장(의장)이 된다. 의자는 권력을 담고 있다. '의자 효과Chair Effect'는 승진으로 인한 권위적 변화를 의미한다.
유명 건축가가 디자인한 의자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고가의 의자는 과시보다는 자기만족을 위한 아이템이다.
![](https://blog.kakaocdn.net/dn/sjEjI/btsLxGOQCGG/s3Xzy9RIKDF2Si2GSzDPR0/tfile.jpg)
의자는 가구의 시작이자 끝이다.
"의자는 사람 크기만 한 건축물이다.
한 손으로 들 수 있는 건축물인 것이다."
- 찰스 임스Charles Eames -
의자와 올드 머니 트렌드
개성과 취향을 담은 주거 공간에 대한 욕구가 커지고 있다. 단독 주택에 대한 관심, 인테리어에 대한 관심이 고가 가구에 대한 관심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진다.
![](https://blog.kakaocdn.net/dn/I1ayE/btsLx6T1f2i/hNJxVU8LhKUkx0Skc0OQkk/tfile.jpg)
좋은 취향에는 돈이 든다. 과시성 소비는 태도에서 나온다. 가격이 오르는데도 일부 계층의 과시욕이나 허영심 등으로 인해 수요가 줄어들지 않는 현상을 일컫는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가 잘 드러나는 곳이 한국 사회다.
한국 사회의 소비 특성
한국인의 자동차에 대한 욕망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아파트 가격 역시 세계 최고 수준이다. 하지만 자동차와 집 소비에 비해 가구에 대한 소비는 고가 영역이 상대적으로 적다. 이것은 고가 가구 영역에 대한 소비 욕망이 커질 순서가 곧 다가온다는 의미이다. 또한 고가 의자 등에 대한 수요나 관심 욕망이 폭발적으로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이다.
![](https://blog.kakaocdn.net/dn/J43Bs/btsLvTa63IB/vrXNXNda6fukw9pDJFXs7k/tfile.jpg)
문화와 취향의 중요성
프랑스 사회학자 피에르 부르디외에 따르면, 문화와 취향이 현대인의 계층을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취향 형성에는 경제력뿐만 아니라 자란 환경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올드머니는 돈 뿐만 아니라 문화, 자본, 취향도 함께 물려받는다.
![](https://blog.kakaocdn.net/dn/bcecJH/btsLwsqBJUT/IRY7gGOjSKfXtDBgR9LEYk/tfile.jpg)
깨달은 점:
하이엔드 의자에 대한 욕망은 단순히 각오에 그치지 않는다. 이는 의식주 전반에 걸친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를 예고한다. 앞으로 이러한 욕망이 한국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해야 할 것이다.
글을 쓰고 주위를 돌아다 보니 좋은 의자는 커녕 성한 의자가 하나도 없다! (반려묘 2마리의 왕성한 스크래치 활동의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