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트렌드코리아 2025》 SNAKE SENSE 요약편_#12 원포인트업

by millie1020 2024. 12. 13.
반응형

자아 성장에 대한 욕망은 본능적이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보다 더 발전하고 싶어하며 어제보다 나은 오늘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바란다.

트렌드 코리아 2025

#원모사 37기 독서챌린지 D12
읽은 것 : p628 - 673 ( 마지막 회 )

오늘의 문장: 미래의 나는 갑자기 나타나는 전혀 다른 존재가 아니라  지금 이 순간의 나로부터 시작되는 연속선상에 있다.


원포인트업

《트렌드 코리아 2025》에서 제안한 '원포인트업'이란 '지금 도달 가능한 한 가지 목표를 세워 실천함으로써 나다움을 잃지 않는 자기 계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말한다.

  • 자기 지향성: 나에게 맞는 성장 포인트 찾기-> 나를 알고 '나다운' 성장의 목표를 모색한다.

자기 지향성

나를 발견하는 목적은 새로운 강점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잠재력이 가장 큰 영역을 찾는 것이다.
《 위대한 나의 발견 강점 혁명》, 갤럽 프레스
  • 도달 가능성 작은 성취를 지속적으로 쌓아가기-> 거창한 목표를 향해 맹렬히 돌진하는 대신 소소한 성공의 경험을 쌓아 조금씩 나아간다. 지금 당장 눈에 띄는 변화가 없더라도 꾸준히 자신에게 집중하고 작은 성장을 이뤄나가는 과정에 집중해 루틴을 만들어 간다.

작은 성장

루틴을 통해 삶을 매일 새롭게 하고 활력을 얻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앤드류 후버만, 신경과학자
  • 기록과 공유: 꾸준히 기록하고 네트워크로 공유하기 -> 기록과 공유를 통해 자신의 목표와 일을 향한 작은 성취들을 다시 한 번 '내 눈으로' 확인한다.


조직과 개인 차원의 원포인트업 자기계발 트렌드

삶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사람들은 외부의 롤 모델에 의존하기보다는 스스로의 길을 개척하고 자신만의 성취를 정의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개인 맞춤형 성장 지원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시대다.

개인 맞춤형 성장 지원

쿠팡의 '멘토십 프로그램'
아마존의 '사내 멘토링 프로그램'
시몬스의 '그로스 디자인', 개별 맞춤형 자기계발 프로그램

사회와 조직 문화의 변화로 인해 과거의 지식과 경험이 더 이상 절대적인 기준이 되지 못하므로 새로운 방식의 성장이 필요하다. 단순히 열심히 일하도록 독려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동기부여를 이끌어내고 작은 변화들을 격려하며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줘야 한다.


깨달은 점:
앞으로는 직장이 아니라 직업이 중요하다. 즉 어디에서 일하느냐보다 어떤 일을 하고 있느냐가 중요한 시대다.
원 포인트 업은 지금 현재 상태 1%의 변화를 모색하는 일이다. 아주 작은 노력이라도 꾸준히 계속한다면 그 결과는 천지 차이인 것이다.

적용할 점: 실천 가능한 나만의 밸류업을 지금 바로 시작하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