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아 성장에 대한 욕망은 본능적이다. 많은 사람들이 지금보다 더 발전하고 싶어하며 어제보다 나은 오늘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바란다.
트렌드 코리아 2025
#원모사 37기 독서챌린지 D12
읽은 것 : p628 - 673 ( 마지막 회 )
오늘의 문장: 미래의 나는 갑자기 나타나는 전혀 다른 존재가 아니라 지금 이 순간의 나로부터 시작되는 연속선상에 있다.
원포인트업
《트렌드 코리아 2025》에서 제안한 '원포인트업'이란 '지금 도달 가능한 한 가지 목표를 세워 실천함으로써 나다움을 잃지 않는 자기 계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말한다.
- 자기 지향성: 나에게 맞는 성장 포인트 찾기-> 나를 알고 '나다운' 성장의 목표를 모색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dO3Fa/btsLiHVnfjt/EypyWmEBoyZAQkptsaPko1/tfile.jpg)
나를 발견하는 목적은 새로운 강점을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잠재력이 가장 큰 영역을 찾는 것이다.
《 위대한 나의 발견 강점 혁명》, 갤럽 프레스
- 도달 가능성 작은 성취를 지속적으로 쌓아가기-> 거창한 목표를 향해 맹렬히 돌진하는 대신 소소한 성공의 경험을 쌓아 조금씩 나아간다. 지금 당장 눈에 띄는 변화가 없더라도 꾸준히 자신에게 집중하고 작은 성장을 이뤄나가는 과정에 집중해 루틴을 만들어 간다.
![](https://blog.kakaocdn.net/dn/pa2vF/btsLj1ZfE1x/NNlMJciYTKlAtvFt6XkAS0/tfile.jpg)
루틴을 통해 삶을 매일 새롭게 하고 활력을 얻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앤드류 후버만, 신경과학자
- 기록과 공유: 꾸준히 기록하고 네트워크로 공유하기 -> 기록과 공유를 통해 자신의 목표와 일을 향한 작은 성취들을 다시 한 번 '내 눈으로' 확인한다.
조직과 개인 차원의 원포인트업 자기계발 트렌드
삶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사람들은 외부의 롤 모델에 의존하기보다는 스스로의 길을 개척하고 자신만의 성취를 정의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개인 맞춤형 성장 지원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시대다.
![](https://blog.kakaocdn.net/dn/d6g4It/btsLhZvC6O3/VQjH1OUEC3FQZPhWGnUqX0/tfile.jpg)
쿠팡의 '멘토십 프로그램'
아마존의 '사내 멘토링 프로그램'
시몬스의 '그로스 디자인', 개별 맞춤형 자기계발 프로그램
사회와 조직 문화의 변화로 인해 과거의 지식과 경험이 더 이상 절대적인 기준이 되지 못하므로 새로운 방식의 성장이 필요하다. 단순히 열심히 일하도록 독려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동기부여를 이끌어내고 작은 변화들을 격려하며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도록 힘을 실어줘야 한다.
깨달은 점:
앞으로는 직장이 아니라 직업이 중요하다. 즉 어디에서 일하느냐보다 어떤 일을 하고 있느냐가 중요한 시대다.
원 포인트 업은 지금 현재 상태 1%의 변화를 모색하는 일이다. 아주 작은 노력이라도 꾸준히 계속한다면 그 결과는 천지 차이인 것이다.
적용할 점: 실천 가능한 나만의 밸류업을 지금 바로 시작하라!
반응형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프 트렌드 2025》 요약편_2장 텍스트힙과 모형책의 묘한 관계_#2 (3) | 2024.12.15 |
---|---|
《 라이프 트렌드 2025》 요약편_1장 조용한 사람들의 시대_#1 (4) | 2024.12.15 |
《트렌드코리아 2025》 SNAKE SENSE 요약편_#11 공진화 전략 (2) | 2024.12.12 |
《트렌드코리아 2025》 SNAKE SENSE 요약편_#10 기후감수성 (2) | 2024.12.11 |
《트렌드코리아 2025》 SNAKE SENSE 요약편_#9 물성매력 (1) | 202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