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

《라이프 트렌드 2025》 요약편_#7_7장 여행 트렌드: 욕망의 리셋

by millie1020 2024. 12. 21.
반응형

여행은 일상에서의 일탈이자 중요한 욕망입니다. 2025년 여행 트렌드를 살펴보며, 변화하는 여행 욕구와 산업의 미래를 탐색해 봅니다.

라이프 트렌드 2025
2013년 첫선을 보인 《라이프 트렌드》는 국내 최고의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전문 시리즈로 매해 핵심 트렌드를 날카롭고 흥미진진하게 전망, 분석하면서 12년 연속 베스트셀러 자리를 지켜왔다. 이번 《라이프 트렌드 2025: 조용한 사람들》에서는 ‘조용함(Quiet & Silent)’을 가장 중요한 트렌드로 주목한다. 요란하고 복잡하고 갈등 많은 경쟁 사회에 지친 사람들은 이제 소음과 과잉 연결, 타인과의 관계와 교류에서 벗어나 홀로 활동하고 자기
저자
김용섭
출판
부키
출판일
2024.10.02

#원모사 37기 독서챌린지 D19
읽은 것 : p185 - 198


오늘의 문장: 우리는 희소한, 남들이 쉽게 가지지 못하는 것을 욕망한다.


팬데믹 이후 여행 열풍

팬데믹이 끝나자 여행에 대한 열망은 급속도로 되살아났다.
특히 2024년 1분기는 여행객 수나 소비자 지출에서 최대치였다. 이런 추세는 2024년 내내 이어지고 있고, 2025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급증하는 여행자 수


희소성의 매력

우리는 희소한 것, 남들이 쉽게 가지지 못하는 것을 욕망한다. 2024년 4월 8일  미국 남부 텍사스 주 오스틴에서 북동부 메인주에 이르기까지, 개기일식이 나타나는 경로에 해당되는 지역에서는 크고 작은 행사가 열렸는데 이 경로의 에어비앤비 숙소 예약률이 치솟고 호텔 매출은 평상시보다 71% 증가했다.

개기일식



경험 중심 여행의 부상

전통적 관광지보다 체험과 경험이 풍부한 곳이 선호된다. 뉴욕의 자유 여신상,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전망대 등 전형적인 관광 코스는 처음 한 번은 즐거울 수 있지만 두 번은 아니다.
하지만 뉴욕에서 열리는 메이저리그 NBA 경기는 매번 새롭다. 지금 2030 세대는 자신만의 취향 경험을 반영하는 여행이 두드러진다. 남들 다 알만한 곳이 아니라 자신이 더 좋아할 곳을 찾는다. 경험과 취향의 과시가 이 시대에는 부의 과시만큼 중요한 욕망이다.

전통 vs. 경험



여행 스타일의 변화

나 홀로 여행, 즉흥적인 여행도 중요한 이슈다.
지속 가능 여행과 디지털 노마드처럼 비즈니스와 여행이 결합된 사람들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일이다.
디지털 노마드와 원격 근무 문화의 확산은 여행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들은 단순히 여행을 즐기는 관광객과는 다른 소비 패턴과 요구를 가지고 있어, 여행업계가 이를 반영한 새로운 서비스와 상품을 제공할 기회를 열어준다.

여행 산업이 디지털 노마드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1. 장기 체류 수요 증가
디지털 노마드는 단기 여행보다는 몇 주에서 몇 달까지 한 지역에 머물며 일과 여가를 병행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장기 체류형 숙박 시설, 공동 작업 공간, 현지 커뮤니티와 연결된 서비스가 인기를 끌고 있다.


2. 로컬 경험 선호
디지털 노마드는 일반 관광객보다 현지 문화를 더 깊이 경험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는 로컬 투어, 음식, 전통 체험과 같은 프로그램 개발에 기회를 제공한다.


3. 기술 인프라 중요성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과 작업에 적합한 환경은 디지털 노마드의 최우선 조건이다.

디지털 노마드



데일리케이션

'데일리케이션'은 일상과 휴가를 결합해 만든 말로써, 일상에서 벗어나 쉬고 노는 것에 집중했던 과거의 휴가와 구분하기 위해 만들어진 말이다.


일상 경험을 위해 한국을 찾는 외국인이 급증하고 있다.
한국의 가수나 배우가 세계적 인지도를 쌓고 한국의 음식과 음악과 드라마가 큰 인기를 끌다 보니 한국 연예인이 하는 헤어스타일, 메이크업, 피부 관리나 시술 등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데일리케이션



일본 여행 열풍과 제주의 위기


일본 여행을 다녀온 사람이 많아질수록 일본의 디저트나 먹거리가 한국에서 유행할 가능성도 높아진다. 일본 디저트와 먹거리, 일본 소도시에 이어서 일본에서 누릴 다양한 경험, 체험 관련 수요는 계속 확장될 것이다.

제주 가느니 그 돈으로 일본, 베트남 가겠다.


일본 여행 열풍과 달리 제주 여행은 식어 간다. "제주 가느니 그 돈으로 일본 베트남 가겠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한국의 2030 세대는 일본을, 5060 세대는 베트남을 선호한다. 동남아시아의 다른 나라와 중국 등도 해외 관광객 유치를 위해 활발히 움직이고 있다. 회복된 여행 수요와 욕망을 채우기 위해 다들 적극 나서다 보니 제주의 위기는 더 깊어질 수밖에 없다.

일본 vs. 제주



2025 여행 트렌드 요약:
2025 여행 트렌드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경험 중심 : 독특하고 개인화된 여행 경험 추구
둘째, 유연한 여행 스타일 :
          나 홀로 여행, 즉흥 여행 워케이션 증가
셋째, 목적지 다변화 :
          새로운 여행지 발굴, 전통적 관광지 위기
넷째, 문화 체험 중요성 :
          현지 문화와 일상 체험 수요 증가


불현듯 5년 전에 불쑥 다녀왔던 나 홀로 뉴욕 여행이 떠오른다.
떠나고 싶다.

New York Public Library, my favorite place in New York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