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일본을 딱히 좋아하는 편이 아니라 일본에 놀러 가고 싶다는 생각을 거의 해본 적이 없습니다(반강제로 두 번 정도 갔다 온 적은 있지만). 그런데 오늘 글에 소개된 도쿄의 다이칸야마 츠타야 서점은 꼭 한번 가보고 싶습니다. 츠타야가 왜 특별한 곳일까요?
- 저자
- 김키미
- 출판
- 웨일북(whalebooks)
- 출판일
- 2021.04.09
#원모사 17기 독서챌린지 29일 차 《오늘부터 나는 브랜드가 되기로 했다》 여덟 번째 이야기
p224- 243
오늘의 문장 : 훌륭한 브랜드는 업계 상식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직업 말'을 만든다.
고객이 찾아가는 브랜드, 츠타야식 카테고라이징
일본의 서점 체인 츠타야(TSUTAYA)는 도서 진열하는 방법이 사뭇 다르다고 한다. 가령 쿠바 여행 가이드북을 사러 갔다면, 가이드북 옆에 쿠바와 관련된 헤밍웨이의 《노인과 바다》, 체 게바라 평전, 모히토 등 칵테일 레시피북, 그리고 어쩌면 코히바 시가가 나란히 진열하는 식이다. (실제로 그랬다는 것이 아니라 '츠타야식 카테고라이징'을 저자가 예를 들어본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9M6fN/btsGE3H7M9W/8ahscxH7okevvuMu44TVO1/img.jpg)
츠타야식 카테고라이징
"쿠바 여행을 계획하고 있다면 쿠바의 문화를 먼저 체험해 보면 어떨까요?"라고 말 걸듯이 제안하는 것.
![](https://blog.kakaocdn.net/dn/SX90B/btsGFEHQL88/yGkkyDGDDjQyiodssluYfk/img.jpg)
아웃사이더의 관점
서점의 상식을 깬 츠타야는 '아웃사이더의 관점'을 강조한다.
업계 외부, 소위 아웃사이더의 관점으로 보는 자세 또한 잊어서는 안 돼요. 한정된 업계 내에만 빠져 있다 보면, 그 업계에서 통용되는 상식에 갇혀 벗어날 생각을 하지 못한다는 얘기죠.
마스다 무네아키, 츠타야 창업자
훌륭한 브랜드는 업계 상식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직업 말'을 만든다. '직업 말'이 반드시 하나일 필요는 없다. '백수 듀오 두나띵클럽' 의 클럽장인 이승희 씨는 다음과 같이 조언한다.
1) 나를 세상의 기준대로 규정하지 않을 것
2) 나를 여러 개의 자아로 규정할 것
3) 그리고 내가 규정한 대로 변화할 것
이제 브랜더들은 더 이상 타이틀을 좇는 직장인으로 살지 않는다. 스스로를 고용한 직업인으로 변화한다. 회사에서 월급을 받아도 '나는 나를 고용했다 '는 마인드로 자신의 직업을 정의하고 정체성으로 연결시킨다. 오늘날 필요한 것은 전문성보다는 정체성이다.
'한정된 업계 내에만 빠져 있다 보면, 그 업계에서 통용되는 상식에 갇혀 벗어날 생각을 하지 못한다'라고 말한 츠타야의 창업자, 마스다 무네아키의 말이 깊은 울림을 줍니다.
'아웃사이더의 관점'에서 보는 자세, 츠타야의 카테고라이징처럼 상식에서 벗어나기!
신선한 관점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이어지는 내용 : 3부 관계 속에서 브랜드 인지도 높이기
'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랜드 정체성/돈 버는 광고-오늘부터 나는 브랜드가 되기로 했다 (1) | 2024.04.18 |
---|---|
브랜드 서클 (0) | 2024.04.17 |
스티브 잡스-Connecting the dots/브랜드 스토리/오늘부터 나는 브랜드가 되기로 했다 (0) | 2024.04.14 |
브랜드 가치/연 단위 프로젝트/미쉐린 가이드/빕 구르망-오늘부터 나는 브랜드가 되기로 했다 (2) | 2024.04.13 |
브랜드 각인시키기/브랜드 강점/문법과 독해/내신 잘 잡는 학원 (0) | 2024.04.13 |